“불자들은 늘어나는데”… 中정부 종교 지원 시급 (현대불교 16/03/24)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여여심 작성일2016.03.25 조회1,438회 댓글0건본문
경제 급성장 속 ‘삶의 질’ 추구
종교 관심 증대, 특히 불교 ‘각광’
정부 공식 등록돼야 사찰 운영可
“종교 관련 법안 조속히 마련해야”
▲ 중국 내에서 불교의 입지는 점점 커지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대부분의 사찰들이 정부의 법적ㆍ제도적 지원을 받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출처=TIME |
공산주의와 자본주의가 공존하는 중국은 공산당 1당 독재 체제지만, 역사상 유례없는 자본주의 경제발전을 이룩한 나라다. 이처럼 빠른 경제 성장과 함께 중국인들은 ‘삶의 질’을 추구하며 종교에 관심을 갖고 있다.
그 중에서도 불교는 가장 많은 중국인들이 찾는 종교로 대두되고 있다.
미국 여론조사기관인 ‘퓨리서치센터’에 따르면, 중국인구의 18%에 달하는 규모인 2억4500만 명이 불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의 21%는 토속신앙을 믿고 있는데, 이 토속신앙 중에서는 대다수가 불교적 의식도 함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불교 관련 산업도 큰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12월 북경에서 개최된 ‘제2회 중국 국제 불교 용품 박람회’에는 많은 불자들이 방문, 불상·향·염주 등 다양한 불교용품과 채식음식 전시를 관람하며 성황을 이뤘다.
당시 전시에 참여한 ‘붓다랜드 화물’ 대표 푸루 솟탐 씨는 향로와 좌선용 방석, 카페트 등을 출품해 큰 홍보효과를 볼 수 있었다. 네팔 사업가로서 10년 간 중국과 거래해 왔다는 그는 “최근 불교 관련 산업이 중국에서 급성장하고 있다. 중국인 불자들이 더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전망은 더욱 밝다”며 “이번 박람회 참가를 마친 후 중국 남쪽의 우한과 상해로 불교 용품을 팔러 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와 같이 중국 내에서 불교의 입지는 점점 커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중국 정부의 법적ㆍ제도적 지원을 받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TIME)’은 최근 중국인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으나 공산주의 체제로 인해 법적 장애를 겪고 있는 중국불교의 현실을 집중 조명했다.
문화혁명(마오쩌둥이 주도한 대규모의 사상·정치 투쟁으로, 독재정권이 주민대중들을 문화적으로 철저히 예속시키기 위해 실시한 인간정신개조운동. 1966~1969) 당시 북경에는 6,843개의 불교문화유산이 있었으나, 그 가운데 4922개가 훼손됐다. 이밖에도 50만 점 이상의 골동품이 파괴됐으며, 경전들은 불태워지고 스님들은 고문당했다.
최근에는 집권당인 공산당이 불교에 대해 환영하는 입장이지만, 여전히 종교시설이 법적ㆍ제도적 지원을 받으려면 중국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그러나 절차가 복잡할 뿐 아니라 중국 종교 담당 국무처 관계자들의 권한에 달려있다. 이슬람교와 기독교는 더 심한 압박을 받고 있다. 최근 수개월간 교회와 이슬람교는 예배 활동을 금지 당했다.
특히 북경 근처의 비구니 천년고찰인 창싱사(長興寺)는 정부에 공식적으로 등록되지 않아 사찰 운영에 고초를 겪고 있다.
창싱사 주지 미아오 펑 스님은 중국 모바일 메신저인 ‘위챗(WeChat)’을 통해 포교를 하고 있다. 채식음식을 즐기는 불자들의 이미지를 올리기도 하며, 자신의 팔로워에게는 음력 설 명절에 외울 수 있는 경구(警句)를 보내주고, 부처님 이미지와 찬불가를 게시하는 등 인터넷 포교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하지만 창싱사를 새롭게 단장하기 위한 자금을 조달하기는 쉽지 않다. 미아오 펑 스님은 “당국의 공식 허가가 없으면 우리는 불자들에게 시주조차 받을 수 없다”면서 “신도들은 사찰을 재건하길 바라지만 보시금을 받기 어려우니 우리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미아오 펑 스님은 정부에 공식 종교시설로 등록할 계획이다. 그는 “우리 지역에 불자들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라며 “불교를 더 홍보하고, 규모를 확대하기 위해선 반드시 정식 등록 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창싱사 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얀루(27) 사미니는 “고대 몇몇 왕조들이 불교를 통치 이념으로 사용했지만, 현 중국 정부는 마르크스주의와 레닌주의를 국가 운영에 적용하고 있다”면서 “종교가 정부나 거대기업과 밀접해지는 것은 장기적으로 볼 때 종교가 발전하는 길을 막을 것이다. 나는 불교가 정부와 멀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한다.
한편 창싱사와 달리 공식적으로 중국 정부에 등록된 다른 사찰들은 빠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북경 끝자락에 있는 룽취안사(룡泉寺)는 가장 큰 발전을 이룩한 사찰 중 하나다. 수백 명의 인파들이 주말마다 선 체험에 참가하고 있으며, 중국 명문인 칭화대와 북경대 출신 엔지니어들은 기술지원 자원봉사 일환으로, 사찰 방문객들이 불교에 관한 질문을 하면 답을 하는 로봇을 개발하기도 했다.
이러한 가운데 중국 불교가 제도적으로 원만히 자리잡기 위해선 정부의 이중적 태도를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셩 후이 중국불교협회 부회장은 “정부가 시급히 종교 관련 제도 및 법률을 제정해야 한다. 일부 기득권층이 벌써부터 사찰 자산들을 개인 소유로 취하고 있다”며 “현재 중국에는 종교 관련 법안이 마련돼 있지 않기 때문에 이 같은 문제가 통제되기 힘들다”고 피력했다.
이어 그는 “지난 달 종교법안 재정을 촉구하는 선거 운동을 펼쳤지만, 중국 공산당은 당 내 주요부서의 관계자들은 어떠한 종교행위도 할 수 없도록 금지했다”며 “중국 헌법은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음에도 불구, 실제 당원들은 그렇지 않은 모습”이라고 말했다.